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주식 초보 상식과 가치투자, 손절매와 테마주 (시간여행tv)
    골계는 (뚠뚠) 오늘도 (뚠뚠) 2020. 5. 16. 17:59

    ※하기 내용에 개인적 견해는 없으며, 개인적인 공부를 위해 유튜브 '시간여행tv' 채널의 영상 내용을 텍스트로 정리한 것임을 알려 드립니다.

     

    *이해가 어려운 용어와 맥락은 노란색으로 표기

     

     

    #1 주식초보가 꼭 알아야 할 10가지 상식들 (19.6.7)

     

     1) 증권사는 환전창구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2) 유료리딩 하는 애들 = 주식으로 돈 벌 자신이 없는 애들

     3) 주가는 여론조사 결과가 아니다.

     4) 실력 없는 친구들끼리 모여도 시너지가 발생하지 않는다.

           : 세력들이 매집을 하다가 잘 안된다 싶으면 매집한 물량을 던져서 개미투자자에게 주가 하락을 유도하고 물량을 다시 모으는 경우가 많음

              2018년 7월 23일 국일신동의 종목 거래원5분봉 확인하면 도움 될 것임

     5) 소문에 사서 뉴스에 팔라

     6) 자신이 모르는 영역은 건드리지 않는다.

     7) 주식전문가 라는 말은 없다.

     8) 증권사 리포트에는 매도 의견이 없다. (절대 신뢰해서는 안된다.)

     9) 손절과와 목표가를 유동적으로 정해라.

          : 애초에 주가라는 것이 그 회사의 가치에 의해서만 정해지는 건 아니고, 정치나 국제 사회 및 투자자들의 수급 등 외부요인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음

     10) 재무제표가 좋지 않은 종목은 미래가 없다.

     

     * 세력:

        매집: 세력이 의도적으로 주식을 사는 행위 (주가 방어 목적) / https://kmisfactory.tistory.com/138 

        종목 거래원:

        5분봉:

     

     

    #2 KB금융 3억 1천만원 손실 후기, 손절 타이밍과 원칙? (19.6.9)

     

     

    상승장

    하락장

    대형주

    손절

    손절

    소형주

    유동적

    추가 매수

    테마주

    유동적

    유동적

      

     1) 대형주는 매매를 할 때, 상승장이든 하락장이든 내가 생각하는 손절 기준을 넘어섰다면 무조건 손절 하는 게 좋음.

          대형주의 경우 한 번 흐름을 타는 경우 공매도가 늘어나는 경우가 많아서 추세를 반전시키는데 시간이 오래 걸림

          ex. 센트리온, KB 금융, 건설주 (삼성중공업 등) 참고

     2) 소형주의 경우 운용 액수가 크기 때문에 상승장이나 회복장에서는 원하는 가격에 주식 매수가 쉽지 않음.

          그러나 하락장이 되면 시장가 매도로 주식을 청산하는 투자자들이 많기 때문에 주로 하락장에 다른 투자자들이 손절하는 물량을 받아서 투자

           Tip! 현금 보유시, 내가 관심 종목의 현재가보다 5%~10% 낮은 가격에 매수 주문을 넣고 대기하는 경우가 많음.

                    그러다 매수 주문이 체결되면 우선 회사에 나쁜 뉴스가 있는 것은 아닌지부터 확인하고,  만약 그런것이 없다면 그대로 보유하고 투자함.

      3) 테마주의 경우, 회사 본질의 가치와는 다르게 주가가 움직이기에 손절 여부 결정이 쉽지 않음.

           상승장과 하락장 관계 없이 움직임이 보이기 시작하면 세력이 그 종목을 어느 정도 평단가에 보유하고 있는지부터 계산함.

           만약 보유 주식의 평단가가 주식을 매집한 주체보다 높으면서 주식 전체 거래량이 감소하고 있다면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손절.

           보유하고 있는 테마주의 테마가 소멸하거나, 회사의 제무재표 악화될 경우 보유 주식 손절.

           그 외의 경우, 어차피 테마라는 것이 돌고 도는 것이라 생각해서  추가 매수하거나 계속 보유함.

     

     ※ 손절시 두가지 원칙

        원칙1 : 새로운 종목으로 갈아타기 위해서 손절하지 않음

        원칙2 : 손절을 한 금액은 1주일간 사용하지 않음

                      손절을 했다는 자체가 이미 잘못된 투자를 했다는 것을 의미하기에, 시간과 여유를 가지고 매매함

     

     

     

    #3 정치테마주 매매시 대장주 찾는 법 (19.6.10)

     

    ※ 정치 테마주란 ? 특정 정치인과 연관되어 가격이 연동되는 종목들

         - 국회의원 선거와 대통령 선거는 모든 국민들의 관심사이며, 주기적으로 돌아오는 테마이기에, 반드시 크게 상승하는 종목이 등장하기 마련.

     

     1) 대장주를 매매할 것 (정치테마주 포함, 모든 테마주 매매시에 해당)

       - 대장주란? 테마주 중 가장 강력하게 상승하는 종목

                             . 호재가 발생했을 때 가장 크게 상승, 악재 발생시 가장 적게 하락

     2) 발굴 순서

       - 네이버 검색창에 'OOO' 관련주 라고 검색

       - 가장 상단의 연관 검색어 를 통해, 가장 많은 이용자의 선택을 받은 검색어를 알 수 있음

          *두개 이상의 종목이 연관검색어에 등장할 경우, 먼저 나오는 종목이 더 수급이 강한 종목임

         예) 황교안 대장주 : 국일신동, 한창제지

                이낙연 대장주 : 남선알미늄

                이재명 대장주 : 에이텍, 에이텍티앤

                유승민 대장주 : 대신정보통신

                박원순 대장주 : 모헨즈, 토탈소프트, 성안

                김부겸 대장주 : 국영지앤엠

     

     3) 정치테마주를 반드시 매매해야 한다는 말이 아니라, 정치테마주를 검색시 이러한 네이버 연관 검색어 기능을 활용하면 좋다는 말.

     

     

     

    #4 주식으로 100억을 벌기 위해서 알아야 할 가치투자의 개념 (19.6.14)

     

     1) 가치투자 의 사전적 의미 : 기업의 가치에 믿음을 둔 주식 현물 투자 전략

     

     2) 시간여행tv 의 생각 :

       - '가치투자'를 해야 하는 것은 맞으나, 대부분의 '가치투자자'들은 어떤 회사가 보유한 자산이나 실적에 대해서만 관심을 갖고, '저평가' 라는 이유로 수급이나 유동성이 아쉬운 종목을 매수하는 경우가 많이 있음

       - 이러한 종목들은 언젠가 수익을 주긴 하지만, 언제 수익을 줄지 모르고 최악의 경우 시장 평균 성장률에도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 투자자들이 수익을 올리기 위해 해야하는 것은, 회사의 가치평가가 아니라 주식의 가치 평가임

     

     3) 가치의 종류

       ① 인적 자산 : 회사의 대표, 임직원들의 능력

       ② 보유 자산과 실적

       ③ 회사가 보유한 기술과 사업분야의 가치

       ④ 수급

          . 특정 회사가 다른 회사에 비해 투자자들의 많은 선택을 받는 경우가 있음.

          . 예를 들어, 유명한 사람이 어떤 회사에 투자했다는 뉴스나, 유통 물량이 부족하여 품절주로 분류된다는 기사 모두 여기에 포함됨

     

     4) 결론

       ① 자신의 돈을 투자하면서, '가치'가 없는 회사에 투자를 하는 투자자는 없음. 각 종목마다 다양한 가치가 있으며, 투자자들은 이 가치를 서로 다르게 평가하고 종목을 매수함. 이 과정에서 성공적으로 '가치'를 평가한 투자자는 수익을 내고, 그렇지 못할 경우 손실 발생

       ② 많은 사람들에게 선택을 받을 경우, 주가는 저평가를 벗어나 적정가로  수렴하게 되고, 증권 전문가 추천이 있을 경우 많은 투자자들에게 쉽게 가치를인정받아 저평가 상태를 벗어나게 됨. 더 나아가서는 주가가 과열되어 고평가 되는 경우가 있음

       ③ 성공한 투자자가 수익 중이거나 손실 중인 종목을 추종 매수 하는 것은 '가치투자'가 아니며, 투자하는 회사를 '어떤 방식으로' , '어떻게' 평가하였는지를 성공한 투자자들로 부터 배워야 할 것

     

     ※ 핵심 ※ 우리가 주식을 매수하려는 궁극적 이유는 10~20년 기업과 동행하려는 게 아니라, 주식을 비싸게 팔아서 수익을 내기 위함. 그러기 위해서는 내가 산 주식을 나보다 비싸게 사줄 사람이 여러명 있는 주식을 구매하면 됨

     

    회사의 가치를 평가 = 부동산 자산, 영업 실적 등 숫자에 중점을 두어 회사를 분석하고 좋은 회사라고 판단되어 매수 후 장기투자 (가치투자가 아님)

    주식의 가치를 평가 = 내가 산 주식을 나보다 비싸게 사줄 투자자가 있는지를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하고 매수 후 익절 (=가치 투자)

     

    *익절 : (↔손절), 내가 구입한 가격보다 이익을 낸 후 매매

     

     

     

    #5 주식투자에 필요한 기술적 분석, 영상 하나로 끝내드립니다. (주식에 필요한 보조지표에 대한 모든 것) (19.6.19)

     

    ※ 차트는 결국 '보조지표' 일뿐. 주식을 매매할 때 알아야 할 기술적 분석은 결국 3가지 정도

     

    1) 추세 판단

     - 이동평균선 : 일정 기간 동안의 주가를 평균한 값을 연결해서 만든 선

       . 20일선 - 60일 선 - 120일 선 순으로 배열된 것을 '정배열', 이 반대를 '역배열'

       . 정배열은 최근에 주가가 상승하고 있는 추세임을 의미, 역배열은 최근에 하락하고 있음을 의미

       . 정배열 종목은 짧게 단타의 관점에서 진입하는 것을 추천. 역배열 종목은 바닥을 확인하고 장기 투자의 관점에서 진입하는 것을 권장

          (정배열은 관성이 우상향을 가리키고 있으나, 리스크에 비해 기대할 수 있는 리턴이 크지 않음 / 역배열은 주식은 무한정 바닥을 지친 않기 때문에 장기관점 에서의 투자 권장. 바닥 확인 후 진입)

     

     2) 고점과 저점의 판단 (추세가 전환되는 지점을 파악하는 방법)

      ① 상승 추세 종목 : 장대 양봉 후 장대 음봉  (상승 추세 끝났다.)

      ② 하락 추세 종목 : 장대 음봉 후 장대 양봉 (하락 추세 끝났다.)

    > 장대 양봉에는 항상 거래량이 급증하게 됨. 해당 캔들에 해당되는 가격에 매수한 투자자들이 많다는 의미. 이 상태에서 장대 음봉이 나온다는 것은, 많은 투자자들이 자신이 매수한 가격보다 낮은 가격에 주식을 팔아야 한다는 의미. 따라서 상승추세가 멈추가 하락이 가속화될 수 밖에 없는 것을 의미

    > 반대의 경우에도 마찬가지

     

     3) 심리적 저항과 지지

      - 예 : 9400->9700 상승하는 것과 9800->10100 으로 상승하는 것 중 더 어려운 것? 정답은 후자.

        천원 단위, 만원 단위의 호가는 다른 호가에 비해 심리적 저항이 큰 편.

        그런데 만약 그 심리적 저항을 뚫고, 돌파에 성공한다면 저항이 곧 지지로 바뀌게 됨

      - 따라서, 가격이 9만원 중후반인 종목을 매수할 때에는, 항상 이 종목이 10만원 부근의 호가를 돌파할 수 있는 모멘텀이 있는지를 판단.

      - 예시 : 삼성전기

     

    *그러나, 차트는 보조적 지표임에 불과하며, 나만의 투자 원칙을 세우고 이를 지켜나갈 것

     

     

    #6 에이치엘비 12억 매수하였습니다. 주식투자, 가치투자, 공매도 (19.6.27)

     

     - 시대에 따라 뜨거운 섹터가 있음. 그 예로, 스마트폰 처음 나왔을 때 게임 섹터 / 한류 열풍이 불 때  화장품주와 엔터주들이 인기

     - 이런 섹터들이 장기간 투자자들의 선택을 받기 위해서는 반드시 신호탄이 있어야 하는데, 그것이 '대장주'

     - 예를 들어, 화장품 주의 경우 아모레퍼시픽의 주가가 2014년 급등하면서 시작됨.

     - 바이오 제약 종목의 경우 10년 전만 하더라도 찬밥 신세 (회계 불투명 / 실적 안좋음). 그러다 한미약품과 셀트리온의 주가가 바닥에서 20배 이상 상승하면서 잠재력이 있는 제약 바이오주들을 투자자들이 찾기 시작, 해당 섹터가 불붙기 시작

     - 일반적인 종목은 자산과 실적을 갖고도 어느 정도 가치 평가가 가능하나, 제약과 바이오 종목은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기술의 가치에 포커스를 맞춰야 하기에 쉽지가 않음.  그래서 시간여행tv도  이 분야는 투자하지 않음

     

     > 그런데 최근에 생각이 바뀌었음. 보통 시간여행tv의 경우, 수익 냈을 때의 패턴을 기억해서 그것을 반복하는 스타일임.

         더 많은 돈을 운용하기 위해선 새로운 도전이 필요하다 생각되어 제약 바이오주 매수

     > 결론 : 매수한 종목 이름 '에이치엘비' 이며, 어떤 기준으로 매수 결정을 했는지는 아래에.

     

     1) 차트

       - 장기간 하락추세 (매수시점보다 매도시점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 매도는 수익 날 때 아무때나 해도 되지만 매수를 잘해야 심리적 안정감 지속 가능) 에이치엘비 주주들 중 시간여행 tv 보다 평단가가 낮은 사람들은 최근 10개월동안 없었음. (앞으로 주가가 상승하더라도 차익실현 물량이 적게 나온다는 의미로 해석 가능)

     

     2) 늘어나는 공매도 물량

       - 개인적으로, 장기적 하락 추세 + 공매도 물량 계속 증가하는 종목을 선호함. 

       - 빌려간 돈을 언젠가는 갚아야 하는 것처럼, 빌려간 주식도 언젠가는 갚아야 함. 외국 증권사들은 조금의 추세 변화가 있더라도 공매도 물량을 상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공매도가 많이 걸려있는 종목을 선호함

       - 에이치엘비는 최근 1주일동안 공매도 과열종목으로 3번 지정됨 만약 주가가 현재가격 유지하는 선에서 공매도를 계속 늘려간다면, 결국 공매도 물량 상환 시점에서 주가가 상승할 수 밖에 없음.

         ※회사 관계자들 중 누구도 임상 결과를 정확히 미리 알지는 못함. 바이오 섹터의 종목들은 현재 보유한 자산과 실적이 거의 없기에, 공매도 세력들이 개미투자자들의 불안감을 자극하여 주가를 하락시켜 수익을 내는 패턴이 자주 보임

     

     3) 커뮤니티의 충성도

       - 셀트리온과 메지온, 에이치엘비 이 세 종목들은 회사를 향한 주주들의 충성도가 매우 높았음

       - 새로 진입하는 투자자 입장에서는 주가 하락이 어느 정도 방어되고, 주가가 상승하더라도 자신이 설정한 목표가 이하에서는 매도하지 않는 주주가 많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충성도가 높은 종목을 선호함

       - 종목의 충성도는, 해당 종목 단톡방의 인원과 활성화를 확인하거나 아니면 종목 토론방에 가서 해당 종목에 대한 부정적인 글을 올리면, 조회수와 비추천의 개수를 비교하는 방법으로 확인 가능

       - 그 외에도 주총에 참석하는 인원수 등으로도 파악 가능

     

     4) 회사 측의 주가 부양 의지

       - 에이치엘비 회사 게시판을 보면, 회사 측에서 루머에 실시간으로 대응하고 있는 모습이 보임

       - 제무재무가 부실한 기업의 경우, 퍼드가 퍼질 경우 순식간에 확산되기 때문에 회사 측의 빠른 대응이 필요

          > 에이치엘비측의 대응은 시간여행tv가 본 코스닥 기업 중 가장 신속하고 정확하기에 신뢰가 감

       - 최근 지배구조 개편. 토러스 투자증권에서는 목표가 165700원 제시

     

    ※ 에이치엘비 접근 방향

     1) 단타의 관점

       - 장기 하락 추세에 있으나, 공매도가 늘어나는것에 비해 하락 가속화 되고 있지는 않음

       - 최근 임상 결과 발표를 앞둔 메지온 에서도 비슷한 패턴이 나오면서 반등과 추세 변화가 나왔음

     2) 장기 투자의 관점

       - 지금까지 발표된 논문과 임상 결과가 사실이라고 가정할 경우, 임상 3상을 통과한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

       - 그러나 헬릭스미스 사례와 같이 3상 결과 발표 연기 가능성이 있기에 장기 투자 관점에서 어느정도 리스크가 있는 것은 사실.

     

    <에이치엘비 차트>

     

     

    19년 6월 말 하락 후 떡상, 19년 말 고점 찍음 이유? 임상 3상 통과

    https://finance.naver.com/item/news_read.nhn?article_id=0004247057&office_id=015&code=028300&page=16&sm=title_entity_id.basic

     

    공매도 관련 자세하게 설명 나온 포스트

    naver.me/x5Ktl6KB

     

    공매도가 뭐지? 개미들의 생존법은?

    대한민국 모임의 시작, 네이버 카페

    cafe.naver.com

          

     

     

     

     

    댓글